[번역 출처 스윗바니]

멤버 한 명 한 명이 차분하게 말하는


"평범한 행복감, 최고의 행복"


기분 좋은, 기쁜, 즐거운, 맛있는, 도키도키, 두근두근...행복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맘에 드는 질문에 멤버 자신의 말로 대답해줬어요. 5명의 [의외의 일면]도 살짝 엿보았어요.




Q.하루 시작 때 [오늘은 좋은 시작을 하겠구나]라고 생각되는 순간은?

온.좋은 날씨인 날이려나, 날씨에 따라서 기분이 바뀐다고 생각해요. 맑으면 행복해~라고 생각하게 되고, 비 오는 날은 조금 싫다...(웃음)


Q.하루 중 가장 릴랙스 될 때는 무엇을 할 때인가요?

온.일 끝나고 집 침대에서 그냥 뒹굴뒹굴 할 때. 아무것도 하지 않아요, 그냥 그냥 뒹굴뒹굴해요(웃음)


Q.이걸 먹을 때 [가장 행복해!]라고 생각하는 음식을 알려주세요

온.제 경우에는 언제나 달라요. 정말로 이게 가장 좋아라는 것도 없고 싫어라는 것도 없어요. 그날의 기분에 맞춰서 [지금 이걸 먹고 싶어!]라는 걸 먹는 게 최고라고 생각해요


Q.치유되는 향기는 무엇인가요?

온.이거!라고 할 향기가 있으려나......

(잠시 고민) 저는 향수도 안 쓰고, 바디크림 같은 것도 안 써서 특별히 없는 것 같아요.


Q.언제나 갖고 다니는 "부적" 같은 물건이 있나요?

온.저는 그런 게 전혀 없어요. 물건 자체가 엄청 소중해도 [이게 없으면 안 돼!]라는 물건은 특별히 없네요. 부적과는 다른데요, 소중한 물건이라면...... 가족이나 친구의 사진일까나 


Q.기분이 가라앉았을 때, 어떤 식으로 해피하게 전환하나요?

온.굳이 바꾸지 않아요. 가라앉을 때는 가라앉은 그대로. 말수가 적어지고, 혼자서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져요. 

외출할 때도 있으면, 집에서 나가지 않고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도 있어요. 

그렇게 해서 지내고 나면, 어느새 마음이 상쾌 해질 때가 많아요.


Q.소중한 날이나 승부 전에, 하는 무언가가 있나요?

온.저는 그때의 상황이나 기분에 맡기는 타입이라서, 이렇다 할 것은 없어요


Q.최근 두근두근.... 가장 텐션이 올랐던 것은 무엇인가요?

온.라이브 전이네요. 콘서트 전에는 긴장도 하고, 멋진 모습을 보여드리지 않으면 안 된다는 프레셔도 있고, 이번에 잘 할 수 있을까나... 같은 불안이 있어요. 

그렇지만 그 이상으로 즐거움도 있어요!


Q.가족에게 받은 해피한 서프라이즈 추억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온.초등학생 때 이사를 하게 되었는데요. 저는 그 사실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어요. 학교가 끝나고 집에 갔는데 거기에는 아무도 없어서...

이사업자분이 짐을 옮기고 있었어요! 거기에 충격을 받아서, [나는 어디 가면 좋을까....]라고 생각했어요. 

웬일인지 가족 누구도 없어서 저는 패닉 상태(웃음) 

그때 상황이 너무 충격적이어서, 그 기억밖에 없어서, 그다음에 어떻게 되었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아요. 그래도 어떻게든 집에 도착했으니 지금 여기에 있는 거겠죠 (웃음) 해피는 아니지만 서프라이즈는 서프라이즈네요(웃음)


Q.친구랑 보내는 시간 중, 가장 즐겁게 보낸 방법이 있다면?

온.친구는 그냥 같이 있는 것만으로 행복하다고 생각해요. 밥을 먹거나 이야기를 하거나 그 자리에 있는 것만으로 행복. 아무 말도 안 하고 그냥 옆에 있는 것만으로도 믿음직하다고 생각해요.


Q.누군가 소중한 사람을 즐겁게 해준다면, 무엇을 해줄 건가요?

온.서프라이즈....해야 하는 걸까요(웃음)?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기 위해서, 제가 뭔가를 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요리를 한다거나. 실제로 친구에게 요리를 해준 적이 있는데요. 그걸 엄청 맛있다면서 먹어줬어요. 저 요리 잘해요(웃음) 리퀘스트 말해주면 무엇이든 만들어줄 자신이 있어요!


Q.당신에게 "최고의 행복"은 무엇인가요?

온.릴랙스하고 있을 때


Q.샤이니 곡 중 해피 송이라고 한다면?

온.뭔가 정해서 이게 행복이라고 하기보다는, 그 곡을 듣고 행복하다고 생각한다면, 그게 답이라고 생각해요. 

행복한 기분을 전하고 싶어서 저희들이 부르는 곡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댄스곡을 듣고 있어도 행복을 느끼는 사람도 있잖아요. 그래서 듣는 사람에 따라 각각 행복을 느끼는 방법이 다르다고 생각해요. 그걸로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

+ Recent posts